[지식뉴스] "치고 빠지는 데 성공한 고령층"..일본 '잃어버린 30년'이 만든 진짜 '위기'① (ft.이창민 한국외대 일본학과 교수) / 교양이를 부탁해 EP.12 / 비디오머그

Published 2023-12-30
일본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세대 간 격차입니다. 일본은 민간이 굉장히 큰 규모의 금융자산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금융자산의 약 70%를 60대 이상의 고령자들이 다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주식도 60대 이상의 투자자 비중이 80% 이상입니다. 그러니까 젊은 사람들은 주식 투자도 잘 안 한다는 얘기죠. 물론 어느 나라나 젊은 시절에 자산을 축적해 나이가 들수록 금융자산이 많은 건 당연한 얘기겠지만, 일본의 문제는 지금 젊은 사람들이 금융자산을 축적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겁니다. 현재 1인 가구 중 30대의 경우 약 30% 이상, 20대의 경우 약 40% 이상이 저축률 제로입니다. 저축이 0이에요. 그냥 그달 벌어서 그달 쓰면서 사는 거예요. 이렇게 살면 앞으로도 금융자산을 축적할 수가 없겠죠. 이 부분이 앞으로 계속해서 문제가 될 겁니다.


*강의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콘텐츠입니다

크리에이티브디렉터:DAVID / 영상취재:서진호 / 콘텐츠디자인·편집:채지우 / 인턴:박지현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일본경제 #세대간격차 #잃어버린30년 #교양이를부탁해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n.sbs.co.kr/videomug
▶Facebook : www.facebook.com/videomug
▶Twitter : twitter.com/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All Comments (21)
  • @videomug0
    <교양이를 부탁해> 이창민 교수의 ‘일본 경제’ 2편은 1월 2일(화) 저녁에 업로드됩니다! <스브스프리미엄 스프>에서 코너 구독을 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junolee3424
    난 아무리봐도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더 심각한거 같은데
  • @JHB0907
    지금 가장 골 때리는게 근미래 직업 분포도입니다. 결국 나라가 발전하려면 서비스, 의료, 과학, 교육, 국방이 고르게 분포해야 하는데 젊은 층은 서비스는 감정소비 심하다며 기피하고 교육, 국방은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으며 과학은 돈도 안되고 정부지원도 열악하다며 똑똑한 친구들은 전부 의료로 쏠리고 있어요. 이걸 정부에서 조정을 해야하는데 오히려 이악물고 과학, 국방, 교육을 보수적으로만 접근해서 지원을 이상하게 하거나 발전성을 올리는게 아니라 불만만 누르려고 합니다. 지금도 사실상 대기업들이 버티고 있는거지 삼성, 현대, lg 이런 이름있는 대기업들 중 하나만 무너져도 경제적 타격이 말로 설명이 안되요 결국 윗세대의 생각이 바뀌어야 하는데 그들은 자신들이 바빠지는 걸 싫어합니다.
  • @user-rz9tx1bx5f
    한국은 돈과 노동에 대한 비뚤어진 가치관을 바꾸는게 가장 시급.
  • @user-vd1km3xh1f
    학생 때 느낀 건데 10년 넘게 문제 푸는 법만 배우고 정작 독립심 기르는 훈련, 진로 탐색이나 실생활에 필요한 경제 상식이나 법, 현실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같은 건 배운 적이 없어서 사회에 나가선 아무것도 모르는 유아로 퇴행한 느낌이어서 교육 제도에 불만이 많았음. 이 나라가 살아남으려면 대학 나와서 화이트칼라 직장만 잡으면 끝이란 식의 목적도 없고 안일하고 아무 효울도 없는 교육제도를 뜯어 고쳐야 함. 요즘 공부만 할 줄 알고 하고 옷 하나도 스스로 못 빨고 자기연민에 빠져있는 애들이 수두룩함. 사무직, 의사(그것도 돈 잘 버는 특정 과만) 같은 일부 전문직종 빼고는 일하려는 사람이 없는데 맨날 일자리 없다고 우는 소리 냄. 애초에 그 예비노동자들이 어렸을 때 무슨 일이 적성에 맞을지 진로 탐색을 도와주고 특정 직업군 말고 다른 직업군의 처우를 개선해주었더라면 지금보단 더 나았을 거임.
  • @_keroro_
    이 교수가 놓치는 부분이 한국의 가장 큰 문제는 출산율임. 일본은 인구수도 한국보다 2배 이상 많고 출산율도 1.26이라서 0.78인 한국에 비해서 최악의 상황은 아님. 교육의 문제나 비노동자가 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줄 수 있는 문제는 일본에나 먹히는 얘기고 한국은 출산율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그 어떤 다른 방법도 의미가 없음. 세계 학계에서도 인류역사상 전무후무한 케이스로 다들 한국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음. 애를 안낳는게 누구의 문제다를 따질 때가 아니라 전국민이 심각하게 경각심과 위기의식을 가져야 할 시기임. 다시 한번 말하지만 한국의 미래는 일본이 아님. 그건 너무 핑크빛 전망임.
  • @user-hq7zu9eg6q
    냉정하게 말하면.. 평범한 일반인 입장에서는 ... 일본이 더 살기가 좋을듯... 일자리도 많고... 나이들어도 고용보장해주고...경제성장률도 한국보다 이제 높고.. 규모차이가 있는데도..ㄷㄷ 우리나라도 일본 만큼만 따라가도 잘한거임..
  • @didasdd9684
    쓸때없이 대학 가는것을 줄여야 합니다 막상 정공 살려서 일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나요
  • @nidaboy
    진짜 이분이 국내 최고 일본통이신듯요. 일본교포로써 실제로 요즘 일본 알바생 외국인이 없는 곳이 없고, 주부들 주 2~3회 짧게 파트타임 근무 진짜 많습니다. 본인만 원하면 일자리 어디에선가는 일자리 잡을 수 있다보니 학교시절 한국인처럼 공부하는 일본학생 10퍼 아니 5퍼도 안됩니다. 우리나라처럼 열심히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 없는데 그 방향이 전부 수능, 전문직, 공시, 대기업 몇자리 내부경쟁인게 핵심진단으로 너무 공감합니다.
  • @user-kk2mq9hs9f
    일본에서 박사학위하는 사람이 없는건 애초에 기업에서 박사학위자를 좋아하지도 않고 채용도 잘 안하고 급여 테이블에서 이득도 없기 때문입니다. 공학계열은 몸으로 겪어봐서 압니다 일본 회사가 종신고용/연공서열제 다보니 공부 많이 하서 나이 많이 먹은 박사학위자에게 사내 비슷한 나이대의 사람과 같은 봉급을 주는거 자체를 싫어하고 공부만 한사람을 뭘 믿고 회사일을 맡기느냐 라는 이유로 싫어하는데다 태반이 박사학위를 해봐야 일반 평사원과 같은 급여테이블에서 시작하고 그 참.... 일본 학위소유자는 몇몇 정말 회사에서 고학력이 필요한 부분 전공이 아니면 아예 채용에서 불이익만 먹거나 이득이 없으니 교수하고 싶은 사람 빼곤 랩실 가보면 외국인만 득실득실 합니다 교수를 하고 싶어도 정통 교수 수제자들을 제외한 나머지 박사생은 포닥이나 조교수/준교수로 전국일주 하듯이 떠도는게 국룰이구요 일본 구제국대에서 박사학위해봐서 압니다. 실제로 일본에 남고 싶어하는 박사학위 받은 대학원 노예들이 탈일본하는 것도 한국 유학생들은 군대 덕분에 남들보다 2살이나 낫살을 더먹어서 30대 초중반의 박사는 서류부터 거르거나 면접볼때 나이가지고 태클걸어서 쫒아내더군요 한국은 훨씬 나은게 박사수당이 따로 나오고 사고치지 않는한 저고과로 긁어버리는 일이 없는데다 인사과에서 고학력자들 유치 및 인력유지가 자기들 MBO다 보니 함부러 대하지도 않습니다만.... 한국 대학원은 정말 개C8 시궁창 중에 시궁창이라.....
  • @taldy04
    우리나라는 걍 기득권들이 문제임. 우리나라는 그리고 2010년대 20년대를 거치면서 점점 갈수록 사회가 보수화가 되고 있음... 기득권들이 자기 권력을 내려놓지 않고 계속 버틴다면 우리나라는 도무지 미래가 안보인다. 젊은 세대들이 나라의 기득권을 하루빨리 차지해서 그동안에 건드리지 못했던 문제들도 이제는 해결해야됨.
  • @user-js6zi5iz3d
    나라는 그 모양으로 만들어 놓고 지들은 잘 산다니요 우리나라도 부모 세대가 투기해서 부동산 엄청 올려 놓고 자식 세대는 어렵게 살아야 하는건 우리 나라도 같아요
  • @uf0tanw00ng
    그래서 기득권 층이 부동산 가격을 못내리죠.. 자산이 다 부동산이니. 그래서 출산률은 계속 떨어지고, 부동산 가지고 있는 노인들의 나라가 되가고. 이 구조로서는 언젠가는 다 끝나겠죠, 잃어버린 30년이 아니라, 인구가 줄어 중/북에 흡수 통일 되는게 걱정ㅎㅎ 이민 받아서 부동산 가격 떠 받게 하거나 지방 분산으로 부동산 가격 낮추는게 답인듯합니다.
  • @sayme8938
    부동산 버블 터뜨리려니 노인들 자산부터 영끌족들 빚폭탄에 기업들 빚폭탄까지 나라가 날아갈거 같고 그렇다고 유지 하려니 버블로 앞으로 사줄 사람들은 엄두도 못내니깐 겨우 생각한게 50년 대출 ㅎㅎ 50년 대출로 버블에 버블 올리면 다음은 70년 대출 하려나
  • @user-ht7gw9ww1c
    수준낮은 한국언론의 선동질 선전질이 얼마나 심각한지 뼈저리게 미국에서 느낀 1인
  • @user-jb2kf2jj7d
    일본과 한국의 차이는 일본은 고령화가 끝나고 있고 한국은 고령화가 시작이다.
  • @user-ri7yc2gw7k
    세대갈등의 정도는 우리나라가 더 심각하다고 생각합니다. 느낌으로는, 지금 폭풍전야 인듯이 조마조마 합니다.
  • @hawkeye4496
    버블시기에 일본은 해외 자산이라도 많이 사놔서 해외에서 들어오는 배당이라도 많지 한국은 답도 없음 한국은 이제부터 내리막 시작임 언제 끝날지도 모름
  •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활성화되어있는데, 기업이 주주환원을 하도록 시스템이 안되있다. 왜 사람들이 다 미국주식이나 부동산, 무지성 저축만 할까. 결국엔 국내주식이 의미가 없으니까 부동산으로 자산이 몰려 지금같은 사태가 일어난거지. 부동산같은 죽은 자산은 생산성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젊은 사람들은 집도 사지 못하는데 어떻게 출산을 할까. 나라는 노령화되고, 기업에 투자는 점점 적어지니 GDP 성장률은 날이 갈수록 감소. 국내주식에서 시작된 사회의 악순환